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진]철근콘크리트 공법으로 건축되는 솔하우스 1층 거푸집 시공 전경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영재네 솔하우스가 1층 레미콘 타설을 위한 거푸집 공사가 진행 중이다. 철근콘크리트 공법으로 지어지는 솔하우스는 벽체가 기둥 역할을 하는 내력벽이다. 건축물의 하중을 지지하는 기둥이 차지하던 공간을 내력벽이 대신해주는 공법은 실내 구조를 넓게 만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마주 보이는 집은 인터넷 초창기인 1996년에  “솔농원과 단양팔경”이란 홈페이지를 코넷에서 운영했던 농원이기도 하다. 그 뒤로 보이는 산은 학이 내려앉아 산이 된 학강산(鶴降山)이다. 근래에 학강산은 인터넷에 소개되어 산행시간 1시간미만의 이름 없는 산에도 불구하고 산을 좋아하는 산꾼들이 찾아오고 있다. 그 사실을 보고 사람들은 놀랐을 것이다. 이런게 인터넷의 힘! 이구나 하면서 말이다.^^ 그렇다. 인터넷의 힘은 정보의 생산과 공유에 있다. 그 생산과 공유의 힘은 건축다큐21 홈페이지에서도 충분히 보여주고 공유하고 있는 것을 우리시대의 목수들은 알고 있고 실천하고 있다. 우리시대의 생활건축 현장의 생생한 모습을 더하거나 빼지도 않고 있는 그대로 보여주는 건축다큐21 홈페이지는 우리시대의 좋은 친구가 아니겠는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진]철근콘크리트 시공 거푸집 판넬 고정구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진]철근콘크리트 공법으로 건축되는 솔하우스 거푸집 전면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진]철근콘크리트 거푸집 시공 거푸집 판넬 고정구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진]슬라이브를 지지하고 있는 거푸집 받침대

건축다큐21^^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진]레이저 레벨라인 수평 측정기


사용자 삽입 이미지
단양  하리하우스 리모델링 거실과 방의 향목루바 시공에 레이저레벨라인 측정기가 사용되었다. 향목루바를 일반적인 시공법인 수직이 아닌 수평으로 세우는 공법으로 향목루바가 시공되는 하리하우스 거실은 깊이감과 안정감이 있는 공간이 되었다.  수평과 수직을 측정하는 도구로 레이저레벨라인과 광학레벨 측정기를 이용하여 수직과 수평선을 정확하게 측정하여 시공하고 있다. 예전에는 물수평과 수준기를 이용하여 수평과 수직을 측정하였지만 현대의 생활건축 현장에서는 첨단 수평과 수직측정 도구들이 사용되고 있다. 우리시대의 목수들이 보여주는 각종 첨단 공구와 도구를 사용하여 작업하는 대한민국 생활건축 목수들의 생생한 건축현장을 보여줌으로서 목수를 꿈꾸는 사람들에게 현장감이 살아있는 생생한 정보가 되리라 생각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진] 하리하우스 주방 루바시공을 위한 수평선 측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진]톰행크스 목수님도 레이저레벨라인을 이용한 수평선 측정 작업 중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진]황토 핸디코트를 시공하기 위한 재료와 미장 도구


사용자 삽입 이미지
황토(黃土)... 한 때 반독재 유신타도의 상징적 시인이던 김지하 의 황톳길 이라는 시집이 80년대 후반 까지 나름대로 인기 있던 시집으로 읽혀지는 시대가 있었다. 한국문학에서 유별나게 시의 제목으로 황토가 많이 등장하고 소설 속에도 황톳길이 단골손님으로 등장한다. 그 것은 황토가 가지고 있는 우리민족의 자연친화적인 삶에 모습을 민중의 발길 속에 투영시켜 이미지화 되어 있는 시적 언어가 황토라고 말하면 누가 뭐라고 그럴까? 그 황톳길의 황토가 삶속에 깊숙이 첨단 건축자재가 되어 돌아왔다. 원적외선이니 어떤 효과니 하는 것은 어느 정도 과장이 포함되어 있다고 봐 줄 수도 있지만 정말 중요한 것은 우리네 민중의 삶과 함께 황토는 숨 쉬고 있었다는 그 삶에 역사가 콘크리트가 득세하는 세상에 하리하우스 리모델링 현장까지 찾아 왔으니 어찌 반갑지 아니할까? 그런 가슴으로 하리하우스 방의 벽체마감재로 선택되고 시공되는 황토를 바라보고 있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핸디코트를 석고보드에 시공하기 전에 조인트테이프로 석고보드  이음부에 테이핑하고 평면을 고르게 하는 작업을 한다. 그 위에 황토 핸디코트를 미장도구를 이용해서 적당한 두께로 바른다. 아주 간단하게 황토 핸디코트를 이용한 시공방법이다. 참고로 핸디코트는 완성품의 형태로 제작되어 플라스틱 용기에 포장되어 있다. 시공 중에 반죽이 굳어지면 소량의 물로 희석시켜 사용해도 된다고 나왔지만 공장에서 제작된 제품 그대로 시공하는 것이 제조회사에서 권장하는 사항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진]항토 핸디코트를 석고보드 벽체에 미장


사용자 삽입 이미지
황토 핸디코트를 원 상품 그대로 시공하면 퍽퍽하여 미장 칼이 잘 나가지 않는다. 그래서 미장공이 아니면 아주 정밀한 표면으로 시공하기 어렵지만 황토의 특성상 정밀 시공을 하지 않아도 그 질감과 색감은 시공하는 사람의 각각의 개성으로 나타나는 재료의 특성이 있기에 시간이 있거나 힘이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황토 핸디코트를 시공 할 수 있다. 자기가 손수 벽체를 마감한 집과 남이 만들어준 집에 사는 공간의 의미는 달라도 많이 다르다. 약간은 어설픈 티가 나더라도 황토 결에 묻어있는 삶에 흔적이 보여주는  즐거운 추억은 돈 주고 살 수 없는 사랑스런 풍경이 아니겠는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진]하리하우스 안방의 세가지 건축재의 만남 - 향나무 루바와 석고보드 그리고  황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