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진]작은방 천장에서 나온 오래된 새알^^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진]천장에 오랜세월 매달려 있는 건축당시 거푸집의 흔적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진]전기배선은 사용하는데 문제가 없을 정도로 양호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진]벽돌과 철근콘크리트 슬라이브 지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진]천장의 스터드 사이에 단열재로 스티로폼을 시공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진]합판으로 마감했던 천장 스터드와 콘크리트 상판에 매달려있는 통나무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진]톰행크스 목수 동생이 하리하우스 리모델링 현장에서 손이 안보일 정도로 열심히 작업 중 - 혹시 슈퍼맨 아닌가?

리모델링 중인 하리하우스는 1973년에 건축된 벽돌 조적으로 벽체를 구성하고 그 위에 철근콘크리트 슬라이브 지붕 공법으로 지어진 집이다. 1층은 막걸리 제조공장으로 사용되었고 2층은 살림집으로 사용되었던 건축물로서 현재 우리시대 목수들의 손길 속에 첨단공법으로 리모델링 중에 있다. 1973년 건축 당시의 풍경들이 2층 내부 합판 마감재를 뜯어내자 하나둘씩 그 감춰졌던 속살을 드러냈다. 환기창으로 들어와서 새들이 집을 짓고 알을 낳고 부화되지 않고 오랜 세월동안 남아있던 새알도 있었고,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목재들이 천장에 그대로 매달려 있었다. 아마도 그 나무는 콘크리트 상판을 만들 당시에 거푸집을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된 나무로서 거푸집 철거 후에는 그 나무들에게 천장 합판을 붙이기 위한 각재 장선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주었던 것 같았다. 그 모습에서 생활건축 현장의 목수들이 발휘 하였던 재활용의 지혜를 들여다 볼 수 있었다. 보기에 따라서는 제 역할을 다한 필요 없는 자재를 뜯어내지 않은 부실공사로 판단 할 수 있지만 적어도 하리하우스 방들의 천장에 매달린 통나무에는 해당되지 않을 듯하다. 그 통나무를 제거하지 않았던 목수의 가슴이 2007년 6월의 신록 속에서 모두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살아가길 응원 드립니다. 그리고 1973년 하리하우스 건축한 그 시대의 목수님들 고맙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진]향나무 루바 안 쪽 면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하리하우스 거실 전체와  방의 천장은 향나무 루바(Louver)로 시공되고 있다. 미송 루바는 색상이 곱지만 목재 특유의 향은 향나무에 비하여 떨어진다. 하리하우스는 적삼목과 방부목 그리고 시멘트사이딩으로 리모델링 되는 집으로 바깥의 재료와 내부의 재료의 연속성을 유지하고 건축주의 자연주의 삶에 나무로 거실과 방의 천장을 시공하는 것이 생활 속에 실천하는 자연의 학습장과 삶에 터전으로 좀 더 적합하기에 나무로 된 면적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리모델링이 진행되고 있다. 향나무는 그 특유의 향이 강열하여 싫어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오래도록 향나무 향이 주는 후각의 삶 속에서 은은한 자연과 함께 호흡 할 수 있는 점이 좋아서 향나무 루바로 시공하게 되었다. 루바로 내부를 마감하는 방식은 시공비와 재료비가 비교적 고가의 건축재이다 보니 많은 사람들이 석고보드에 도배지를 선택하게 하는 이유가 되기도 하지만 요즘은 값싼 중국제 목재들이 수입되어 원목 루바시공에 대한 부담이 줄어들었다. 나무는 중국제이던 국산이던 유럽제 이던 간에 원목 가공에 대한 기술적인 차이는 있어도 나무로서 그 가치를 발휘 하는데는 별다른 차이점이 없다. 참고로 하리하우스 방의 천장은 루바로 하지만 벽체에는 황토 칠로 마감하여 천장에서 지붕까지 모두 자연친화적인 건축소재로 시공될 예정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진]향나무 루바(Louver) 앞 면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진]향나무 루바 옆면 - 사진은 비닐 포장지로 보호 되어 있는 상태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진]하리하우스 2층 현관 기둥의 벽부등과 천장등

요즘 방송이나 신문에서 툭하면 인테넷 쇼핑몰 사기 등의 뉴스가 나온다. 그 만큼 인터넷을 이용한 쇼핑이 대한민국에서는 생활의 한 부분처럼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인터넷 천국이란 반증도 될 수 있겠다. 좋은 의미로 인터넷을 바라보는 뉴스는 거의 새 발의 피 처럼 천연기념물 취급을 받으며 전파와 인쇄매체를 통해 소개되기도 한다. 하지만 그 수 많은 인터넷 쇼핑몰 중에서 사기 사이트는 현실에서 사기치는 오프라인의 비율보다 결코 높지 않다. 극히 일부 도둑놈 쇼핑몰 운영자와 불성실한 사람들의 일탈된 형태를 일반화시켜 보도하는 방식은 탈피해야 되지 않을까 생각된다. 좀 더 현실적인 좋은 정보들 ... 정직하고 믿을 만한 인터넷 사이트 찾는 방법, 인터넷 사기꾼 감별법? 인터넷 사기 쇼핑몰 인지 방법 등의 정보를 알려주는 편이 좋은 인터넷 세상을 만드는 밑거름이 되지 않을까? 솔직히 오프라인 상점에서도 바가지 씌우거나 불량 제품을 백주대낮에 파는 상점들도 있다. 마찬가지로 인터넷에서도 그런 쇼핑몰 역시 존재한다. 하지만 그 수는 정말로 새 발의 피다!  인터넷 강국 대한민국의 생할의 편리를 위해서 오늘도 정직과 신용으로 열심히 노력하며 좋은 상품을 판매하는 수 많은 인터넷 쇼핑몰 사장님들 댕큐! 입니다. ^__*

사용자 삽입 이미지
리모델링 중인 하리하우스 2층 현관의 천장과 기둥에 두 개의 조명을 달았다. 모두 인터넷 조명을 전문으로 판매하는 쇼핑몰에서 구입하였다. 기둥에 설치한 클래식한 벽부등은 알루미늄으로 만든 제품으로 제조국은 중국이다. 아무리 중국제품 이라고는 하지만 요즘 알루미늄 가격이 비싸서 그런지 나름대로 고가의 벽부등이다.^^ 천장에 달린 제품은 솔직히 내가 고른 제품은 아니다. 사진보고 구입한 조명이 제고가 없다고 하기에 같은 가격대의 심플하고 현관에 어울릴만한 제품을 대신 보내주세요! 그랬더니 보내준 제품인데 실제 주문한 제품보다 2,000원이 비싸다는 쇼핑몰 주인장의 말에 절대 신뢰를 보내고 있다. ^^ 천장등도 클래식한 청동 주조제품의 느낌을 주는 조명으로 구입할 생각이었는데 몇 군데 조명 쇼핑몰에서는 찾을 수 없었다. 그런대로 하리하우스의 심플한 구조의 나무들과 크게 동 떨어지는 느낌은 아니어서 봐 줄만 하다는 생각이다. 한마디로 두 제품 모두 괜찮다는 생각이다. 사실 벽부등은 좌우 기둥에 설치하면 균형의 미에서는 좋지만 가격 문제로 일단 우측에 하나만 달고 나중에 살다가 혹시 짝을 찾아 주고 싶으면 추가로 구입해 설치할 예정이다. 현재 짝이 없어도 나름대로 아름다운 하리하우스의 현관 지붕의 기둥에 달린 벽부등도 건물과 조화되어 조명과 악세사리 인테리어로도 손색없이 제 역할을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