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진]하리하우스 보일러실 문턱 타일 재단


사용자 삽입 이미지
건축주가 직접 시공하는 하리하우스 보일러실 타일 붙이기는 천천히 작업을 진행했다. 급 할 것도 없지만 처음으로 건축 일에 도전하는 초보자에게 프로들의 시간과 능력을 요구 할 수 없기 때문이기도 했다. 오늘은 보일러실 문턱 보강공사를 하면서 남겨 두었던 부분에 타일 붙이이기 작업을 마쳤다. 3일간에 걸쳐서 진행된 하리하우스 보일러실 타일공사가 마무리 되었고 이젠 기름보일러 설치만이 남았다. 건축주가 직접 타일을 붙인 보일러실은 전체적으로 깔끔하게 시공되었지만 전기 콘센트와 스위치 부분의 타일재단이 맞지 않아 보강작업을 했다. 건축주가 직접 타일붙이기로 시공된 하리하우스 보일러실은 그 누구보다도 건축주 지윤 아빠에게 좋은 추억으로 남으리라 생각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진]하리하우스 건축주 문턱에 타일본드 미장 중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진]하리하우스 건축주 문턱에 타일 붙이기 작업 중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진]하리하우스 건축주 문턱에 타일 붙이기 완료 후

건축다큐21^^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진]하리하우스 방부목 데크에 오일스테인 칠하는 건축주 지윤아빠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오늘  리모델링 중인 하리하우스는 평온한 하루가 흘러갔다. 건축주 지윤아빠는 어제에 이어 오늘도 데크에 오일스테인 칠하는 작업을 했다. 어제는 롤러로 하다가 바닥에 주저앉아서 붓으로 드넓은 데크를 칠하고 있었다. 그 것은 아마 오일스테인 10리터짜리가 모자라서 붓으로 작업하지 않았나 생각된다.^^ 지승이 엄마는 특별히 한 일이 없지만 가족을 위해서 음식을 준비하고 하리하우스 귀염둥이 지윤이와 지승이는 수박으로 화채를 만들었다. 아무것도 아니지만 아이들에게 직접 화채를 만들 기회를 주는 하리하우스 주인장의 음식교육은 보기에도 좋았다. 쿠~ 지윤이와 지승이가 만든 화채는 너무 가지고 놀아서 인지 사각사각 맛 보다는 푸석푸석 한 맛이 있는 화채가 되었다.^^ 그러나 맛있었다. 어제는 우유로 화채 국물을 만들었는데 오늘은 환타와 물로 만들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진]지윤이와 지승이 수박 화채를 만들고 있다.


건축다큐21^^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진]농가주택 솔농원 1983년 12월 풍경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진]농가주택 솔농원 1987년 11월 풍경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진]농가주택 솔농원 1986년 12월 풍경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진]농가주택 솔농원 2005년 겨울 풍경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진]농가주택 솔농원 2005년 5월 풍경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진]농가주택 솔농원 2005년 5월 풍경


사용자 삽입 이미지
단양에서 리모델링 중인 하리하우스(www.harihouse.co.kr) 건축주 본가인 솔농원 본채는 10년 전에 거푸집을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공법으로 지은 농가주택이다. 평수로는 약 70평정도 되는 주택으로 1층과 2층에 여섯 개의 방과 세 개의 화장실이 있다. 내장재는 저렴한 자재로 마감되었고 주택은 골조의 튼튼함에 비하여 내장 단열은 좋은 편이 아니다. 건축 당시에  건축주의 이모부님이 공사 진행을 맡아서 지은 집이라 기본은 튼튼하고 좋은 집이지만 건축비 문제로 단열과 인테리어는 특별한 것이 없는 평범한 집이지만 솔농원사람들의 좋은 안식처로 많은 사람들로부터 사랑받는 집이기도 하다. 10년이 지났지만 건축물에 특별한 하자는 없지만 초겨울까지 진행된 공사여서 2층 옥상으로 올라가는 계단에 습기가 많이 차는 문제가 발생되기도 했다. 습기는 안방의 붙박이장 안쪽도 차는데 단열의 부실에서 오는 문제점이라 추후 집을 수리할 때 단열을 보강하면 해결 될 수 있을 것 같다. 집의 보존 상태는 비교적 양호하나 지붕처마의 마감재가 떨어져나간 부분이 보이고 지반의 침하로 현관 앞 봉당에 금이 갔지만 건축물의 안전과는 상관없는 정도의 균열발생 지역이다. 이 사진을 보면 우리네 농촌의 농가주택의 변화를 볼 수 있을 것 같다.

건축다큐21^^